야구/실전 사회인야구

[사회인야구 입문] 3. 팀에서 내 역할 찾기(1)

baseballstory 2021. 1. 16. 10:55
반응형

블로그를 운영하다보면 조회수가 나오지

않는다는 이유로, 내가 쓰고싶은 글보다

사람들이 원하는 내용의 글을 억지로 쓰게되며

점점 쓰고싶은 글을 쓰기가 어렵게 된다.

 

마음을 겨우 다잡고 무려 1달만에

다시 이 시리즈를 이어가보려고 한다.

 

 

← 이전 글 보기

 

1. 사회인야구를 처음 시작하는 당신을 위해

서론 나는 어릴때 꿈이 야구선수였다. 하지만 넉넉지못한 가정형편과 함께 150cm도 안되는 나의 키로는 야구를 하게 해달라고 부모님께 조를수가 없었다. 하지만 항상 언젠가는 반드시 야구를 해

sselfrpg.tistory.com

 

2. 사회인야구 입문 방법

팀선택의 중요성 지금부터 내가 만약 처음 야구를 시작한다고 가정하고 말하겠다. 야구를 잘하든 못하든 일단 야구를 하려면 야구를 할 팀을 찾는 것이 가장 빠르다. 물론 여러 커뮤니티에서

sselfrpg.tistory.com

 

 

 


다시한번 정리해드림

바로 이전 글에서는 '팀을 고르는 방법'에

대해 다뤘다. 한방에 골랐을 수도 있고,

너무 지저분하게 글을 써놔서 아직 정확히

어떻게 잘 구해야할지 이해하지 못했을수도 있다.

 

짧게 요약하겠다.

그냥 최소 1달은 팀을 구하러 다닌다고 생각하고,

내가 낼수있는 요일과 시간에 맞춰 

온, 오프라인 모두 활용해서 팀을 알아봐라.

최소 3~4개팀은 참관해보고 

마음에 드는 2개정도의 팀을 고른 뒤

두세번 더 경기하는것을 지켜보고

팀 분위기와 팀원들의 성향을 파악한 뒤

이 팀에서 '같이' 야구해보고 싶다는 생각이들면

그때가서 가입을 해라.

 

 

 

 

다시한번 말하지만, 팀 한번 잘못가입하는 순간

최소 1년이상의 시간과 돈이 그냥 날아간다.

팀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1년치 리그비(약 20~30만원)

월회비(1~3만원씩)

유니폼 (대략20만원 안팎)

거의 50~60만원 증발한다고 생각해라.

운좋게 실력이 좋아서 주전이라도 써주면

그나마 덜아깝지..

생초보는 실력도 안되서 벤치에서 대부분

구경할텐데 돈은 돈대로 내고 

경기는 경기대로 못하고

그렇게 탈퇴하는거다 ㅋㅋ

 

 

 

그러니까 마지막으로 말하건데,

팀 선택 정말 잘해야한다.

 

이쯤 신신당부를 했으면 충분히

알아들었을거라 보고 다음 파트로 넘어가겠다.

 

빠밤~!


팀 가입 이후, 모두 당신하기 나름

 

좋은 팀을 잘 골랐는가? 

이제 빼박캔트다. 

팀에 가입한 이상 좋은 팀을 위해

최선을 다한다는 생각으로

형님동생들한테 연락도 꾸준히하고

야구뿐만 아니라 인간적으로도

잘 지내야만 한다. 

 

 

또 한소리 하자면,

누구나 뻔히 알겠지만

'야구는 팀스포츠'다.

 

겸손 또 겸손해야하고, 

내가 잘한다고, 남이 못한다고

절대 으슥하면 안된다.

 

야구를 정말 프로급으로 잘하지 않는 이상

아무리 잘해도 싸가지가 없으면

팀에서 평판과 위상이 깎이는건 금방이다.

 

 

 

 

팀엔 감독이란 사람이 있고, 감독보다

더 나이가 많은 사람도 있으며,

그런 사람들보다도 야구를 오래한

구력 높은 사람도 많다.

 

 

 

초보인 사람이 봐도 사회인야구팀?

그리 대단해 보이지않을거다.

투수라는 사람은 볼넷을 남발하고,

수비들은 허구한날 에러하고,

무슨 도루는 기본으로 내주고 

여태까지 내가 알던 야구가 아닐거다.

 

 

 

 

근데 이게 바로 '사회인야구'다.

내가 속으로 비웃던 그 플레이를

몇시간도 채 되지않아 내가 쳐하고 있게 된다.

만만하게 보다간 정말 개쪽팔림을 면치못한다.

 

 

 

열심히 하고 최선을 다하고

겸손하고 싹싹하고 예의바르면

사회인야구에선 거의 다 커버가 된다.

그게 당신에게 '무적의 실드'가 될거다.

 

 

안타까운 일이지만 분명 팀에 한두명씩은

기가 쎈사람이나, 싸가지없게 느껴지거나

잘난 척을 한다던지, 이기적인 행동을 한다던지

야구를 하러 와서 꼴값떠는 것들이 있다.

아무리 내가 팀을 잘골라도 있기 마련이다.

(그런사람들이 싫어선지 몰라도

아무리 밖에서 돈을 몇억씩 잘버는 사람도

야구를 못하면 나한텐 그냥 ㅈ밥처럼 생각하게 된다..

나는 야구하러 왔거든..이거라도 이겨야지..라는 마음

물론 경기끝나고 밥사주면 인사 잘한다ㅋㅋㅋ)

 

팀에서 인정받아 자리잡고

주전라인업을 보장받을 실력까지 인내해야한다.

 

 

여기는 '프로'의 세계가 아니라

'사회인'야구이기 때문이다.

 

 

연이어 쭉 적어내리고 싶지만

지루해 할 당신을 위해 까뜨~

 

 

 

 

 

 

 

 

→ 다음 글 보기

 

[사회인야구 입문] 4. 팀에서 내 역할 찾기(2)

밀린만큼 한방에 연이어 쓴다. ← 이전 글 보기 2. 사회인야구 입문 방법 팀선택의 중요성 지금부터 내가 만약 처음 야구를 시작한다고 가정하고 말하겠다. 야구를 잘하든 못하든 일단 야구를

sselfrpg.tistory.com

 

 

[사회인야구 입문] ※ 부록 - 야구장비 잘 고르는 법(1) - 글러브

비싸서 하기 힘든 스포츠 야구를 하려는 사람들에게 가장 큰 진입장벽은 역시 '장비'다. 축구나 농구는 공하나와 골대만 있으면 일단 어떻게든 할 수 있다. 때문에 후진국에서도 가장 빠르게 전

sselfrpg.tistory.com

 

반응형